.gitignore 파일 생성

.gitignore 파일은 git저장소(github등)에 업로드 하지 않을 파일들을 정의해 놓은 설정이다.

  • .gitignore 파일은 Project 최상위 폴더에 존재해야 한다. (없으면 직접 생성하면된다.)
  • 바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.gitignore 파일이 Git 저장소에 commit되면 그때 설정이 적용된다.
# 이 줄은 주석입니다. '#'로 시작하는 줄은 주석으로 처리됩니다.

# 디렉토리를 지정할 때는 슬래시('/')를 사용합니다.
build/
dist/

# 특정 파일을 지정할 때는 파일명만 사용합니다.
config.js

# 와일드카드 '*'을 사용하여 패턴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
*.log
*.tmp

# 특정 확장자의 파일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
*.bak

# 특정 디렉토리 밑의 모든 파일과 서브 디렉토리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
logs/
node_modules/

# 부정 패턴을 사용하여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제외할 수도 있습니다.
!important.log
  • 아래 사이트에서 운영체제, 개발환경, 프로그램언어 등 입력하면 샘플 .gitignore 를 보여준다.
  • 내용을 복사해서 생성한 .gitignore 파일에 붙여 넣기 하고 commit 한다.

https://www.toptal.com/developers/gitignore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파일복구  (0) 2023.10.19

파일복구를 위해서는 파일 삭제되기 전인, 이전 커밋의 해시값을 가지고 이전 파일로 돌리는 방식입니다.

 

1. 삭제한 파일의 이전 커밋 해쉬값 확인

     * VSCode에서 git History 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해시값 확인. 

     * VSCode 사용하지 않는다면 github에서 확인

      설치하고 나면 시계모양 클릭

 

환경설정파일 복구 하기 위해 이전 커밋의 해쉬파일 클릭하면 복사된다.

2. 삭제한 파일 복구

git checkout <commit-hash> -- 파일명

# ex) .env는 파일명입니다.
git checkout 611df2b419dc39bbe0c5f7938ec85d7b6e401949 -- .env

3. 변경 사항 스테이징하고 커밋

git add 파일명
git commit -m "코멘트 파일복구"

# main은 브랜치명
git push origin main

 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.gitignore 파일 생성  (1) 2023.10.19

+ Recent posts